MCP (Model Context Protocol)
최근 AI 업계의 가장 주목받는 트렌드 중 하나는 MCP(Model Context Protocol)입니다. Anthropic에서 2024년 11월에 발표한 이 개방형 모델 연결 표준은 AI의 활용 방식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모델은 단순한 텍스트 생성 챗봇에서 벗어나 실제 시스템과 상호작용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에이전트 형태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에이전트는 정보 제공을 넘어 콘텐츠 저장소, 비즈니스 도구, 개발 환경 등 다양한 데이터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MCP는 인공지능 모델이 더 정확하고 관련성 높은 응답을 생성할 수 있도록 외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지원합니다. 기존에는 AI가 새로운 서비스를 활용하려면 서비스마다 전용 API를 개발하고 연동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MCP를 사용하면 별도의 코드 작성 없이도 표준화된 방식으로 다양한 데이터나 도구에 쉽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쉽게 비유하자면, API는 여러 개의 문마다 각기 다른 열쇠가 필요한 반면, MCP는 하나의 만능 열쇠로 모든 문을 열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개발자는 MCP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노출하거나, 이러한 서버에 연결되는 AI 애플리케이션(MCP 클라이언트)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MCP의 실제 활용 사례 중 하나로, Claude와 Notion의 연동을 통한 작업 자동화가 있습니다. MCP를 활용하면 Claude가 Notion의 문서를 읽고 작성하는 등 다양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어 업무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MCP와 MCP 서버의 개념
MCP는 Claude, ChatGPT, Cursor와 같은 AI 모델이 노션, 구글 드라이브, 데이터베이스 등의 외부 서비스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해주는 통신 프레임워크입니다. 마치 통역사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돕는 것처럼, MCP는 AI와 외 부 서비스 사이의 '통역사' 역할을 합니다.
MCP 프로토콜 : 소통의 규칙
MCP 프로토콜은 AI 모델과 외부 서비스가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공통 언어를 정의합니다. 일상에서 사람들이 대화할 때 지키는 예의나 규칙이 있듯이, MCP도 AI와 서비스 간의 대화 방식을 규정합니다.
만약 AI에서 "내 노션에 오늘 회의 내용을 정리해줘" 라고 요청을 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때 AI는 직접 노션에 접근할 수 없지만, MCP 프로토콜을 통해 노션 서비스에 이 요청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AI는 "노션에 새 페이지를 만들고, 제목은 '오늘의 회의 내용'으로 설정하고, 다음 내용을 작성해줘"라는 형식화된 요청을 MCP 프로토콜에 맞게 구성합니다.
MCP 서버 : 실행의 중심
MCP 서버는 실제로 이 프로토콜을 구현하고 작동시키는 실행 엔진입니다. 이는 마치 대사관과 같이 두 세계 사이의 공식적인 소통 창구 역할을 합니다. 각 외부 서비스(노션, 구글 드라이브, 데이터베이스 등)마다 별도의 MCP 서버가 존재하는 이유는 각 서비스가 고유한 API, 인증 방식,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AI가 노션에 회의 내용을 정리하려면 :
1. 요청 해석 : AI가 "회의 내용을 노션에 정리해줘"라는 요청을 받으면, 이를 MCP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2. 서비스 연결 : MCP 서버는 노션 API에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인증 정보(API키)를 안전하게 사용합니다.
3. 요청 전환 : "회의 정리" 요청을 노션 API가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API 호출로 변환합니다.
4. 응답 처리 : 노션이 "페이지가 성공적으로 생성되었습니다"라고 응답하면, 이를 AI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되어 반환합니다.
따라서 MCP 서버는 LLM AI가 수행할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외부 데이터와 상호작용을 도와줄 "도구"의 역할을 합니다.
구글 드라이브 MCP 서버 -> 구글 드라이브내의 문서에 접근
노션 MCP 서버 -> 노션에 작성된 문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Github MCP 서버 -> Github 레파지토리에 접근
이렇게 사용할 서비스에 따라 MCP 서버를 실행하는 이유는 외부 데이터에 접근해서 파일 읽기, API 호출, 데이터베이스 접근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를 통해 LLM의 기능을 확장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채팅봇에서 에이전트로 진화
인공지능은 초기에 단순한 텍스트 기반 채팅봇으로 시작했지만,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더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에이전트 형태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에이전트는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환경과의 상호작용하며 작업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지속적인 개입 없이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MCP는 이러한 진화의 중요한 공험점으로, 인공지능이 단순한 텍스트 채팅에서 더 복잡한 실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에이전트로 발전하는 데 필수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Claude Desktop에서 MCP를 활용하면 Claude가 Notion, 브라우저,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외부 서비스와 통합하여 사용자를 대신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Claude를 사용하여 Notion을 조작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Claude Desktop과 Notion MCP 연결 가이드
MCP(Model Context Protocol)를 사용하면 Claude Desktop에서 직접 Notion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는 설정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MAC 기준으로 설명)
1. MCP Notion 서버 설정하기
먼저 GitHub에서 MCP Notion 서버 저장소를 클론합니다:
git clone <https://github.com/suekou/mcp-notion-server.git>
저장소를 클론한 후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서버를 빌드합니다:
cd mcp-notion-server/notion
npm run build
npm link
빌드가 완료되면 notion/build/index.js 파일이 생성되었는지 확인하세요.
2. Notion API 토큰 얻기
Notion API 토큰을 생성하려면:
- Notion 통합 페이지(https://www.notion.so/my-integrations)로 이동합니다.
- "새 통합" 버튼을 클릭합니다.
- 통합 이름을 입력하고 작업할 워크스페이스를 선택합니다.
- 통합 유형은 "내부"(기본값)으로 유지합니다.
- 통합이 생성되면 "보기 → 복사" 버튼을 클릭하여 API 토큰을 복사합니다.
3. Claude Desktop 설정 파일 편집하기
1. 클로드 Desktop APP을 설치합니다 (https://claude.ai/download)
2. Claude → 설정 → 개발자 탭으로 들어갑니다.
3. 설정 편집을 클릭하여 claude_desktop_config.json 파일을 에디터로 실행합니다.
이후 파일을 다음과 같이 편집하세요:
{
"mcpServers": {
"notion": {
"command": "npx",
"args": ["-y", "@suekou/mcp-notion-server"],
"env": {
"NOTION_API_TOKEN": "your-integration-token"
}
}
}
}
4. Claude → 종료 실행하여 완전히 Claude를 종료하고 재실행 (x 버튼으로 누르면 안되는 경우 종종 발생)
5. 채팅창에 망치모양 아이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이는 MCP를 사용하여 전문 서버에 제공하는 도구의 목록)
4. Notion 워크스페이스에 통합 연결하기
API 통합을 Notion 페이지에 연결하려면:
- 이전에 구성한 워크스페이스에서 새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 페이지의 오른쪽 상단에 있는 "..." 메뉴를 클릭합니다.
- "Connect to"를 선택한 다음 이전에 만든 통합을 선택합니다.
- URL에서 페이지 ID를 복사합니다.
해당 ID는 URL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페이지의 URL은 다음과 유사합니다:
https://meteor-vein-e56.notion.site/Claude-MCP-1c6c4ab994e580bf91f7cb165bdc7931
5. Claude Desktop 사용하기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Claude Desktop을 사용해 봅시다:
- Claude Desktop이 이미 실행 중이라면 재시작합니다.
- 앱이 시작되면 망치 아이콘을 클릭하고 "From Server" 아래에 "notion"이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
- Claude에게 Notion에 저장하거나 Notion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작업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Notion에 내용 저장하기
콘텐츠를 생성한 후 다음과 같이 요청합니다:
이 콘텐츠를 Notion에 저장해 주세요 <페이지 ID>
예를 들어:
문서에 MCP에 대해서 내용을 작성하고 싶은데, 그 내용으로 MCP의 탄생 배경과 챗봇 형태의 인공지능이 에이전트 형태의 인공지능으로 진화했다는 내용과 MCP의 특징을 중점으로 작성해줘
이후 Claude가 노션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권한을 요청합니다. "허용"에 관한 선택지를 클릭해줍니다.
이후 아래와 같이 Claude가 노션에 직접 텍스트를 잘 작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미널에서 만나는 Claude Code를 소개합니다. (0) | 2025.06.18 |
---|---|
바이브 코딩으로 풀스택 개발하기 (2) | 2025.06.16 |
Figma MCP(Model Context Protocol)로 디자인을 코드로 : 바이브 코딩으로 웹과 모바일 결과 비교 (2) | 2025.05.18 |
바이브 코딩 (Vibe Coding) AI 시대의 새로운 개발 패러다임 (0) | 2025.04.06 |